로열티 프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열티 프리는 컴퓨터 표준 및 사진, 삽화, AI 생성 이미지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컴퓨터 표준에서는 표준 구현에 따른 로열티 지불이 없는 것을 의미하며, 로열티 기반 표준과 비교된다. 사진 및 삽화 분야에서는 이미지 사용에 대한 1회성 지불로 추가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저작권 라이선스를 의미하며, 스톡 사진 분야에서 권리 관리 라이선스와 대조된다. AI 생성 이미지의 경우, 법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로 판매되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톡 사진 - 위키미디어 공용
위키미디어 공용은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는 미디어 파일 저장소로, 자유 라이선스 파일을 저장하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기관에서 자료를 기증받아 파일 품질 관리를 위한 제도를 운영하고 사진 공모전을 개최한다. - 스톡 사진 - 셔터스톡
셔터스톡은 존 오린저가 2003년에 설립한 이미지, 비디오, 음악, AI 이미지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월정액 구독 방식을 통해 성장하여 뉴욕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사업 확장을 위해 여러 기업을 인수하고 중국 정부 검열 및 저작권 침해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저작권 라이선스 - 바이러스성 라이선스
바이러스성 라이선스는 원저작물의 라이선스가 2차적 저작물에도 적용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용어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가 적용된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경우 전체가 동일한 라이선스의 제약을 받게 되는 '전염성'을 가지며, 이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긍정적으로, 독점적인 개발자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상호 운용성, 법적 해석,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 등 다양한 논의를 낳는다. - 저작권 라이선스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CL)는 창작자가 저작물 이용을 특정 조건하에 허락하는 라이선스 체계로, 저작자표시(BY), 비영리(NC), 변경금지(ND), 동일조건변경허락(SA) 등의 조건을 조합하여 다양한 라이선스를 제공하며, 국제 공통 라이선스로 개발되고 있다.
로열티 프리 | |
---|---|
로열티 프리 | |
정의 | 저작권이 있지만 저작권료나 사용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저작물 또는 라이선스 |
설명 | 로열티 프리(royalty-free)는 저작권이 있지만 저작권자에게 로열티나 사용료를 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저작물이나 라이선스를 말한다. 즉, 한 번의 요금 지불로 저작물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라이선스이다. |
특징 | 로열티 프리는 저작권 자체가 없는 퍼블릭 도메인과는 다르다. 저작권은 여전히 존재하며, 라이선스 조건에 따라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로열티 프리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스톡 사진 에이전시를 통해 판매된다. 로열티 프리 음악은 광고,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사용된다. |
한국어 번역 | |
로열티 프리의 한국어 번역 | '저작권료 면제', '무상 사용', '무료 사용' 등으로 번역될 수 있다. |
법적 측면 | |
주의 사항 |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는 저작권 자체를 양도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는 라이선스 조건을 준수해야 한다. 라이선스 조건은 사용 범위, 기간, 용도 등을 제한할 수 있다.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저작권 로열티 라이선스 퍼블릭 도메인 스톡 사진 |
2. 컴퓨터 표준
컴퓨터 산업 표준은 크게 로열티 기반 표준과 로열티 프리 표준으로 나눌 수 있다. 로열티 기반 표준은 특허 기술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반면, 로열티 프리 표준은 그렇지 않다.[1]
2. 1. 로열티 기반 표준
수많은 컴퓨터 산업 표준, 특히 산업 컨소시엄이나 개별 기업이 개발하고 제출한 것들은 이 표준의 실제 구현을 위해 로열티가 수반된다.[1] 이 로열티는 "포트당/장치당" 부과되는 것이 보통이며, 최종 사용자 장치의 제조업체는 판매되는 각 장치에 대해 적은 액수의 고정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연간 고정 비용이 포함되기도 한다.[1] 매년 수백만 대의 장치가 판매되면서 이 로열티는 수백만 달러까지 치솟을 수 있으며, 이는 제조업체에 상당한 부담이다.[1] 이러한 로열티 기반 표준의 예로는 IEEE 1394, HDMI, H.264/MPEG-4 AVC 등이 있다.[1]2. 2. 로열티 프리 표준
로열티 프리 표준은 표준의 실제 구현에 대한 "포트당" 또는 "볼륨당" 요금이나 연간 지불금을 포함하지 않는다. 실제 사양의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저작권으로 보호되며 표준 기구에서 구매해야 한다.[1] 대부분의 개방형 표준은 로열티 프리이며 많은 사유 표준도 로열티 프리이다. 로열티 프리 표준의 예로는 디스플레이포트, VGA, VP8, Matroska가 있다.[1]3. 사진 및 삽화
사진술과 삽화 산업에서 로열티 프리는 사용자가 라이선스 제공자에게 1회성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사진을 사용할 권리를 갖는 저작권 라이선스이다.[6] 이때 로열티는 지적 재산권 소유자나 콘텐츠 제작자에게 지불되는 수익의 일정 비율을 의미한다.[2]
3. 1.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의 특징
사진술과 삽화 산업에서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는 사용자가 라이선스 제공자에게 한 번만 비용을 지불하면 여러 제약 없이 사진을 사용할 수 있는 저작권 라이선스이다.[6] 따라서 사용자는 추가 비용 없이 여러 프로젝트에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는 독점적으로 제공될 수 없다.[6] 스톡 사진 분야에서 로열티 프리는 권리 관리 라이선스와 대조되는 일반적인 라이선스 중 하나이며, 구독 기반 또는 마이크로스톡 사진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된다.[6]로열티 프리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고 해서 무료라는 의미는 아니다.[2] 저작권이 있는 작품은 공식적인 허가 및 로열티 지불 없이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받는다.[2]
과거에는 주로 스톡 사진에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사진뿐만 아니라 일러스트나 동영상 등 소재집에도 동일한 라이선스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단, 로열티 프리 작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구매한 사업자(회사 또는 개인) 본체의 업무로 한정되며, 이미지 데이터를 타인에게 대여, 판매, 양도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한 번 구매하면 그 이후에는 몇 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고 이해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광고 용도로만 사용이 제한되거나 이용자 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프리'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무엇이든 가능'한 것은 아니다. 엄격하게 규정된 업계 표준 규칙의 정비는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지만, 이용자는 상품에 첨부된 이용 허가서에 기재된 제약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3. 2. 스톡 사진에서의 로열티 프리
사진술과 삽화 산업에서 로열티 프리는 사용자가 라이선스 제공자에게 한 번만 비용을 지불하면 여러 제약 없이 사진을 사용할 권리를 가지는 저작권 라이선스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가 비용 없이 여러 프로젝트에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는 독점적으로 제공될 수 없다.[6]스톡 사진 분야에서 로열티 프리는 권리 관리(Rights Managed) 라이선스와 대조되는 일반적인 라이선스 중 하나이며, 구독 기반 또는 마이크로스톡 사진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된다.[1] 로열티 프리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고 해서 무료라는 의미는 아니다. 저작권이 있는 작품은 공식적인 허가 및 로열티 지불 없이는 다른 사람이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보호받는다.[2]
과거에는 주로 스톡 사진에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사진뿐만 아니라 일러스트나 동영상 등 소재집에도 동일한 라이선스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단, 로열티 프리 작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구매한 사업자(회사 또는 개인) 본체의 업무로 한정되며, 이미지 데이터를 타인에게 대여, 판매, 양도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한 번 구매하면 그 이후에는 몇 번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고 이해되지만, 엄밀히 말하면 광고 용도로만 사용이 제한되거나 이용자 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프리'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는 것처럼 '무엇이든 가능'한 것은 아니다. 엄격하게 규정된 업계 표준 규칙의 정비는 앞으로의 과제이지만, 이용자는 상품에 첨부된 이용 허가서를 확인하여 제약 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3. 3. 이용 허가서 확인의 중요성
이미지 데이터를 구매한 사업자(회사 또는 개인)는 본인의 업무에 한해서만 로열티 프리 저작권 작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를 타인에게 대여, 판매, 양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1]이미지 데이터를 한 번 구매하면 이후에는 횟수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광고 용도로만 사용이 제한되거나 이용자 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프리'라는 단어가 주는 자유로운 이미지와는 달리, '무엇이든 가능'한 것은 아니다. 업계 표준 규칙은 아직 명확하게 정비되지 않았으므로, 이용자는 상품에 첨부된 이용 허가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6]
4. AI 생성 이미지의 라이선스
AI 생성 이미지의 라이선스(및/또는 저작권 등록)는 아직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 대부분의 관할 구역에서는 인간이 창작한 저작물만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3][4][5]
4. 1. 법적 불확실성
스페인[3]과 독일[4]을 포함한 대부분의 관할 구역에서는[5] 인간이 창작한 저작물만 저작권으로 보호받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생성형 AI 모델은 무수히 많은 인간이 생성한 콘텐츠를 소스 자료로 사용하므로, 결과물에 대한 권리의 어느 부분을 누가 소유하는지 정의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셔터스톡과 같이 AI 이미지 스톡을 제공하는 대형 기업은 해당 AI 이미지를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로 판매하고 있다.4. 2. 업계의 동향
셔터스톡과 같은 AI 이미지 스톡을 제공하는 대형 기업들은 해당 AI 이미지를 로열티 프리 라이선스로 판매하고 있다.[3]참조
[1]
서적
The Focal encyclopaedia of photography: digital imaging, theory and applications, history, and science
https://books.google[...]
Focal Press
[2]
웹사이트
What Does Royalty Free Mean? A Complete Guide to Royalty-Free Content
https://pikwizard.co[...]
2024-01-22
[3]
웹사이트
WIPO Lex, Spain, Law No. 22/1987 of November 11, 1987, on Intellectual Property
https://www.wipo.int[...]
2023-08-07
[4]
기타
Urheber
https://dejure.org/g[...]
2023-08-07
[5]
웹사이트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pyright
https://www.wipo.int[...]
2023-08-07
[6]
서적
The Focal encyclopaedia of photography: digital imaging, theory and applications, history, and science
https://books.google[...]
Focal Press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